
Memory Leak이란? '메모리 누수'라고도 표현하며, 더이상 사용되지 않는 인스턴스가 메모리에서 해제되지 않고 남아있는 현상을 뜻한다. 이 메모리 누수를 해결하지 않으면 한정된 리소스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어려우니 메모리 누수가 일어나고 있지는 않은지 확인해서 반드시 해결해야 한다. 이번 글에서는 Memory Leak을 확인하는 두가지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바로 Xcode의 'Memory Graph Debugger'와 'Instruments'다. 그중에서도 이번에는 Instruments에 대해 알아보자. 사전 준비 이전 글에서 사용한 예제를 그대로 사용했다. 이전 글과 마찬가지로 첫번째 화면(First)에서 터치하면 두번째 화면(Second)로 진입하고, 진입하면서 동시에 서로를 강하게 참조하는..

Memory Leak이란? '메모리 누수'라고도 표현하며, 더이상 사용되지 않는 인스턴스가 메모리에서 해제되지 않고 남아있는 현상을 뜻한다. 이 메모리 누수를 해결하지 않으면 한정된 리소스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어려우니 메모리 누수가 일어나고 있지는 않은지 확인해서 반드시 해결해야 한다. 이번 글에서는 Memory Leak을 확인하는 두가지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바로 Xcode의 'Memory Graph Debugger'와 'Instruments'다. 그중에서도 이번에는 Memory Graph Debugger에 대해 알아보자. 사전 준비 두가지 방법을 테스트하기 위한 것이므로 아주 간단하게 준비했다. 첫번째 흰 화면(First)에서 화면을 터치하면 바로 두번째 파란 화면(Second)로 넘어간다. 첫..

▼ 이전 글 [Xcode] 한 프로젝트에 다수의 swift 파일 선택하여 빌드하기 - 1 [다음 글👇] [Xcode] 한 프로젝트에 다수의 swift 파일 선택하여 빌드하기 - 2 2021.06.03 - [etc] - [Xcode] 한 프로젝트에 다수의 swift 파일 선택하여 빌드하기 - 1 지난 번 글에서는 여러 개의 타겟을 생성 gets-better.tistory.com 지난 번 글에서는 여러 개의 타겟을 생성하여 각각의 main파일을 빌드하는 방법을 설명했다. 이번에는 하나의 타겟으로 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자. - 새 Command Line Tool 프로젝트를 생성한다. - Command + R 을 눌러 빌드해보면 자동으로 생성된 main.swift 파일이 정상으로 빌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다음 글 [Xcode] 한 프로젝트에 다수의 swift 파일 선택하여 빌드하기 - 2 2021.06.03 - [etc] - [Xcode] 한 프로젝트에 다수의 swift 파일 선택하여 빌드하기 - 1 지난 번 글에서는 여러 개의 타겟을 생성하여 각각의 main파일을 빌드하는 방법을 설명했다. 이번에는 하나의 타겟으 gets-better.tistory.com Xcode를 사용해 스위프트를 연습할 때 처음에는 playground로 연습했다. playground는 굉장히 유용하고 편리한 기능이지만 치명적인 단점이 있었다. 그건 바로 playgound는 sandbox이기 때문에 commandline input에 접근할 수 없다는 것. 알고리즘 공부를 하다 보면 필연적으로 특정 값을 입력받아야 하는데 play..